안녕하세요 마구스입니다 :)
이전 포스팅에선 조동사do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엔 조동사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조동사 정리하였으니 머리속에 저~장~ 하시길!
의미 |
분류 |
조동사 |
~할 수 있다. |
가능 |
can, could |
~해야 한다. |
필요, 의무 |
must, have to, have got to |
~해도 된다. |
허가, 허락 |
may, might |
~해서는 안된다. |
금지 |
must not |
~할 필요 없다. |
필요 |
do not have to, need not to |
~하는 편이 좋겠다. |
권고 |
had better, should |
~하는 편이 좋았다. |
후회 |
should have p.p |
~하는 편이 좋겠다. |
선택, 선호 |
would rather |
~도 될까요? |
정중한 요청 |
May I~, Could I~, Would you~, Could you~ |
~해보는게 좋을 것 같은데 |
제안 |
could, should, might |
~하곤 했다. |
과거의 행동 |
would |
~하곤 했다. ~했었다. |
과거의 행동 및 상태 |
used to |
조동사의 확률 정리
May vs Might
1. 기본적 개념 의미
may
① 공손한 요구 (~할 수 있을 까요?)
May I borrow your pencil.
② 허락 (~해도 좋다.)
You may leave the class.
③ 확신: 50%정도 (~일지도 모른다)
He may be at the store.
Might
① 공손한 요구 (~할 수 있을까요?)
Might I borrow your note?
② 확신: 20% 정도의 확률 (~일지도 모른다)
He might be at the school.
May와 Might 둘 중 확률이 더 높은 것은
어떤 것인가요?
may(50%정도의 확률) > might (20%정도의 확률)
It may rain. > It might rain.
네가 틀렸다고 말할 때 직설적인 표현보단
돌려 말할 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You may be right. (맞을 확률이 50%)
You might be right. (맞을 확률이 20%)
보통 실생활에서는 might 보다 may를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Should vs. Ought to
1. 기본적 개념
should
① 충고 (~해야만 한다.)
We should study today.
② 확신 90%정도 (~임에 틀림없다.)
James should be there by now.
(James는 지금쯤이면 거기 도착했을 것이다.)
Ought to
① 충고 (~해야만 한다. -should보다 조금더 강한 충고)
You ought to clean the house today.
② 확신 90%정도 (~임에 틀림없다.)
Tom ought to pass the exam.
(Tom은 시험에 통과 됐을 거야.)
지금까지 조동사 종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교육관련 >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ed to 동사원형 그외 총정리하였습니다. (0) | 2017.10.26 |
---|---|
중학교 영어단어 총정리 필수로 암기해봐요! (0) | 2017.09.22 |
조동사 do (동사 강조, 도치, 대동사 등) (0) | 2017.09.15 |
영어 보어, 주격보어 목적격보어 어렵지 않아요! (feat. 명사, 형용사) (0) | 2017.08.25 |
영어문법 공부법 제대로 하는 방법입니다.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