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중학생 과학 공부에 대해
학년별 로 알아 보겠습니다
요즘 융합과학 이다 뭐다 그래서
학생들의 체감 난이도가 많이 높아져
학부모님 학생들이 하소연을 많이 합니다.
그럼 중1부터 중2 중3까지 과학을 어떻게
학년별 과학 공부를 준비해야 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중1 과학
중등 과학 첫 단원부터 지권의 구조, 변화 등
우리가 눈으로 직접 관측할 수 없는 부분의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책에 나와 있는 개념만 가지고 공부를
하게 되면 무작정 외우는 골밖에 안됩니다.
직접 영상을 보며 땅이 어떠한 변화를 거쳐
지금의 모양까지 이루어 지게 되었는지
시뮬레이션 영상이나 실험 영상 등을 통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중요 포인트★
1. 마찰력, 탄성력 등 생소한 용어가 등장하며
확실한 개념정리가 필요합니다.
2. 중1에 나오는 개념은 과학뿐만이 아니라
국어, 수학, 영어 등 타과목의 지문에서도 많이
등장하므로 이 단원의 개념을 놓치면 교양으로 알아두어야
할 배경 지식을 놓치는 결과가 됩니다.
3. 문과를 가야겠다는 생각으로 중학교 때부터
과학 공부를 아에 하지 않는 학생들이 있는데
중학 과학은 문,이과 할 것 없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을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에
어느 계열 시험 문제에서든지 충분히 나올 수 있는
개념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지금의 중학생들은
문이과 통합 세대입니다 :)
중2 과학
중1 시기에 비하여 중2 과정에서 느껴지는
체감 난이도가 매우 큽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중2때부터 과학을 포기하기 시작합니다.
중2 과학은 수능에서 많이 다루어 지는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시점입니다.
★중요 포인트★
1. 중3 뿐만이 아니라 고등 공통과학(고1)에서도
중2 때 배우는 개념을 가지고 심화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과학을 힘들어 하는 학생들은 늦어도 중2때부터는 과학에
대한 도움이 필요합니다.
2. 중2때의 시험 결과가 앞으로의 과학 성적을 계속
결정하게 되는 지표가 됩니다.
3. 고등학생 중 기초가 많이 부족한 학생들은 중2 과학
내용만이라도 복습한 후에 진도를 나가듯이 굉장히
중요한 내용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학습 난이도가
매우 높습니다.
중3 과학
중2 시기에 배운 내용에 대한 심화 과정을 다루기 때문에
중2 과학이 제대로 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면 중3 과학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고등학교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과 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은 고등학교 과정에 대한 기초로 꼼꼼한 학습을 필요로 합니다.
★중요 포인트★
1. 1, 2 학년 때 배웠던 화학기호를 가지고 스스로 화학식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수학처럼 공식화 하여 푸는 단원임에도
불구하고 기본기가 안 되어 있거나 공부하는 방법을 모르는
학생들은 무작정 외울 수 밖에 없습니다.
경우의 수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외우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고득점을 받기 어렵습니다.
2. 1, 2 학년 때 배운 기초 지식들이 같이 나오기 때문에
과학 기초가 너무 부족하다면 중3 올라오기 전 중2
겨울방학 때에 과학의 기본 개념에 대해 완벽하게 숙지를
하고 올라가야 합니다.
'교육관련 > 과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생 과학 학년별 공부 방법 - 고등 과학 (고1, 고2, 고3) 알아 볼까요? (0) | 2017.05.15 |
---|